고제희의 풍수칼럼
목록으로
  실력있는 풍수사

  풍수사의 풍수 실력을 4단계로 구분하는데, 범안(凡眼,俗眼)은 산수의 형세를 매우 상식적으로 이해하여 혈을 잡는 수준이고, 법안(法眼)은 풍수이론에 맞추어 간룡과 장풍에 대한 높은 안목으로 혈을 잡고 또 수법에 의해 좌향을 잡는 수준이고, 도안(道眼)은 개안을 하여 정법에만 의존하지 않고 언뜻 산세를 보아 진룡을 찾은 후에는 눈에 혈이 완연히 들어오는 수준이고, 신안(神眼)은 산매나 귀신의 힘을 빌려 대지를 척척 잡아내는 수준을 말한다. 이 중에서 정통풍수학에 맞추어 학문적이고 논리적으로 혈을 잡고 좌향을 놓는 것은 법안이며, 그 단계를 뛰어넘은 사람들이다. 그러나 문제는 그런 단계에 이르지도 않았으면서도 자칫 도사 흉내를 내면서 도안이니 신안이니 하며 사람들을 현혹시키기도 한다.

  풍수 경전에서 풍수사의 자질을 다음과 같이 지목하였다. 첫째 명사를 만나 전수를 받아야 하고(明師傳授), 둘째 마음이 지혜롭고 정교하여야 하고(心靈智巧), 셋째 선인들이 점혈한 자취를 많이 보아야 하고(多看山跡), 넷째 좋은 서적을 많이 읽어 이치에 밝아야 하고(讀書明理), 다섯째 전적으로 뜻을 모아 풍수 공부에 정진해야 하고(專心致志), 여섯째 마음이 깨끗하고 단정해야 한다(心術端正)
  풍수사의 실력을 판단하는 것은 간단하다. 장지를 선정해 좌향을 놓고, 또 장례를 주관하였으면 전 과정을 무슨 사고 원리로, 어떤 의도로, 어떤 상황에서 결정했는가를 글로 적어 상주에게 주어야 한다. 이것을 결록(訣錄)이라 부르며, 풍수의 품질 보증서와 같다. 몸이 아파 의사를 찾아가면 진찰 후에 처방전을 써 주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요즘은 아무리 유명한 풍수사라고 자칭하는 사람도 말로써만 이야기 할 뿐, 글을 남겨주지 않는다. 그래서 사람들은 오히려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긴다. 하지만 옛날에 풍수사들은 결록을 꼭 남겨주었다. 집안에 그런 글들이 전해져 내려오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아무리 도안이니 신안이니 하며 도사 흉내를 내더라도 결록을 써주지 않으면 그 사람의 실력을 믿지 말아야 할 것이다. 말은 언제나 뒤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사진 : 실제로 고제희 선생이 터를 본 후 결록을 써서 발급을 해 준 것. 옛날 풍수사는 한지에 붓글씨로 썼지만, 요즘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현대화 하였다.>



풍수사의 역할

풍수사에 대한 예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