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록으로 |
논문 소개 및 서론, 연구사 |
![]() ※해당 논문은 석사학위논문입니다.
風水理論을 활용한 庭園設計 技法開發 Development of Garden Design Method Using Pung-Soo Theory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환경자원학과 조경학 전공 백미나 Ⅰ. 序論 오늘의 도시환경은, 그간 비교적 저렴한 에너지공급과 기술의 발달로 인해 용이해진 설비체계를 바탕으로 환경적, 사회적 측면보다는 근대경제론 위주로 이루어져 왔다.(Hough, 1984) 그 결과 환경문제는 세계적인 중대한 문제로 나타나고 있고, 우리 나라도 산업화, 도시화의 과정에서 황폐화된 자연이 주거환경을 위협하는 상황에 이르렀다(한필원, 1993). 이런 상황에서도 현대 사회는 생산보다는 물질적 소비에 중점이 맞혀져 있고, 이런 물질적인 면으로 치우친 삶은 도시민의 계층화를 심화하고 주거공간에 대한 정서성을 희박하게 만들어 현대인의 몰 인간화를 부추기고 있다(中野肇, 1999). 이 같은 현대의 주거환경은 생태적 기반의 위협이라는 환경문제와 공간의 정서성 상실이라는 난관에 봉착해 공간이론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의 근본 원인은 서양의 근대 과학적 접근의 결과로 볼 수 있는데 인본주의로 대표되는 서양의 개발논리와 인간 가치에 대한 양적이고 획일화된 기준으로 인간성이 결여된 정량적(logos)인 서양의 공간상을 추구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공간상은 결코 과학적 사고의 독점물은 아니다. 풍토, 역사, 사회의 영향(phatos)과 그로 인한 사고방식(ethos)과 종교, 예술도 그 독자의 풍부한 공간상을 가지고 있다. 이런 공간의 정서적 접근은 동양적 공간관으로, "인간에 의해 인식된 공간은 환경이 되고 거기에는 마음이 상호 작용하고 있다"고 보는 관점이다(中野肇, 1999) 이와 같이 공간이 가지고 있는 정서성을 인정하고 접근할 때 환경의 파괴를 피하고, 자연과 건강하게 공존할 수 있는 생태적이고 정서적인 공간개발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풍수이론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풍수이론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자연의 일원인 인간이 땅과 우주와 조화를 이루며 삶으로써, 최대의 이익과 번영 그리고 평화를 얻고자 했던 고대과학이다(심우경, 1988). 그러나 현대 풍수이론은 서양에서 출현한 종교들이 唯一神을 주장하고 그 외의 모든 사물의 현상이나 우상숭배는 금기했기 때문에 이 고대과학이 말살 되거나 일반인들로부터 멀어져 간 것이다.(심우경, 1988)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후기와 일제의 문화 말살기, 근대의 전란기를 겪으면서 민간 신앙과 연결되어 미신적으로 변해왔고, 일부 地官들의 임의적 해석과 術法 등으로 그 위상의 부정적 측면이 적지 않다. 그 내용에서도 生氣나 發福 등과 같은 신비주의적 요소를 현대적으로 해석해내지 못한 상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폐해는 풍수이론의 근본적 원리보다 術數的인 측면이 강조된 결과로 풍수이론이 가지는 생태적 자연관과 정서적 공간관은 현대 주거공간의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풍수이론은 전통공간 개념으로 한국인에게 가장 친근한 공간관이며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통한 행복추구라는 관점은 현대의 환경심리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환경의 지원성(affordance)과도 같은 맥락이다. Bell등은 환경심리학의 특성을 "환경과 행태를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하는 종합된 하나의 단위로 건축, 조경, 도시계획, 사회학 등의 여러 분야와 깊은 관련이 있는 종합과학이며, 현실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론 및 그 응용을 연구하는 분야로 그 방법이 다소 엄격하거나 정밀하지 않은 방법이라도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연구방법을 사용한다."(임승빈, 1990)고 정리하고 있다. 이는 풍수이론의 공간관이나 목적론과 유사하며, 환경심리학이 아직도 서양의 과학적 사고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연구위주의 발전을 보이고 있는 반면, 풍수이론은 전통적으로 한국을 비롯한 동양의 조경, 건축, 도시계획 등에 오래 전부터 활용되고 있는 경험과학으로 그 합리성에 대한 검증은 역사를 통해 이루어져 왔다고 볼 수 있고, 그 결과와 미래적 가능성에 대한 현대적 평가 또한 긍정적 부분이 많다. 뿐만 아니라 풍수이론의 내용적 측면을 살펴보면 山勢의 生旺死節을 살피고, 음양오행과 天地人의 조화를 추구하는 등, 자연을 살아있는 생명체로 대하고 인간 또한 그 한 부분으로 그 자연과의 조화를 통한 행복을 추구하는 관점은 인간과 자연환경사이에 공생공리를 추구하는 생태학과 같은 맥락임을 찾아 볼 수 있다(심우경, 1988). 이와 같이 풍수이론은 현대적 적용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 내용 또한 자연과 인간의상호 관계, 공간에 대한 철학적 해석, 그에 따른 인간의 영향 등을 기존의 생태학이나 환경심리학보다 적극적이고 철학적인 입장에서 고려하고 생태적이고 정서적인 설계기법으로 발전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가장 일차적인 생활공간인 집을 주제로 하여 한국적 공간관인 풍수이론의 기본적 원리를 탐구하여 현시대에 맞게 체계화하여 한국적 정서에 맞는 주택정원의 설계기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Ⅱ. 硏究史 1. 풍수이론 관련 선행연구 ---- 게재 생략 2. 정원 관련 선행연구 ---- 게재 생략 |
![]() |
![]() |